오래 전에 폐지된 MBC 예능 <무한도전>에 출연한 박명수가 명언 아닌 망언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박명수 :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진짜 너무 늦었다."
과연 무엇이 맞을까요? ^^;;;
어떻게 보면, 박명수가 말한 망언도 맞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원래 명언은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것이다."입니다.
이 명언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입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늦었다고 생각했을 때가 '시작'이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243488
1만 시간의 법칙
성공은 1만 시간의 노력이 만든다!피겨 여왕 김연아, 한국 최초로 컴퓨터 백신을 개발한 안철수, 시대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스티브 잡스. 그들은 타고난 재능과 천재성만으로 정상에 오를 수 있
book.naver.com
시간은 모든 사람이 똑같이 공정하게 지니고 있는 단 한 가지 자산입니다. 또 시간은 갖고 있는 사람이 스스로 선택해서 쓸 수 있는 유일한 자산이기도 하죠. 지금까지 성공한 사람들을 살펴보면, 대개 한 가지 일을 최소한 1만 시간 넘게 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1만 시간 넘게 노력과 연습에 투자해서 성공을 이루었거나 최소한 성공의 발판을 마련한 것이죠. 그들은 지원도 없고 운도 기대할 수 없었지만 1만 시간의 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해서 성공을 거머쥔 사람들입니다. 이는 가히 성공을 불러오는 '1만 시간의 법칙'이라고 부를 수 있죠.
여러분의 1만 시간은 어떤 시간입니까? 여러분은 그 시간을 보내기 위한 어떤 법칙을 가지고 있습니까?
지금부터 여러분의 1만 시간을 성공을 이루는 시간으로 바꿔드릴 전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만 시간의 법칙>,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Part 1] 1만 시간의 법칙
◎ 연습의 위력
지금은 폐기된 유전이론 중에는 프랑스 진화론자 J. 라마르크가 주장한 '용불용설(用不用說)'이 있습니다. 용불용설이란, 특정 신체 부위를 계속해서 사용하면 환경에 적응하기 쉽게 발달하고, 반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퇴화되서 쓸모없게 된다는 학설이죠. 이 이론이 내세우는 증거는 그럴듯합니다. 원숭이는 오랫동안 꼬리를 사용하지 않다 보니 꼬리 힘이 약해지고 길이가 짧아졌습니다. 반대로 기린은 높은 나뭇가지에 매달린 잎사귀를 따먹기 위해서 목을 계속해서 길게 뽑다 보니 목이 늘어난 것이죠. 사람에게 적용하자면, 야구선수 중에서 투수가 오른팔로 계속해서 공을 던지면 그 팔만 두꺼워지고 길어진다는 논리입니다.
국어사전의 정의에 따르면, 연습이란 '되풀이해서 익히는 것'을 말합니다. 연습을 하면 몸놀림은 물론 두뇌의 능력도 키울 수 있죠. 흔히 창의력은 특출하게 머리가 비상한 사람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이런 능력을 평범한 사람들은 도저히 따라잡지 못한다고 믿죠. 그런데, 과연 그럴까요?
천재가 아니더라도 오랜 연습을 거치면 창의적인 능력은 얼마든지 발휘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가 있습니다. 1999년 이스라엘 헤브루 대학 연구진은 연습으로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지를 실험했습니다. 연구진은 광고제작 지식이 전무한 초보자들을 모아서 세 그룹으로 나눈 뒤, 샴푸 광고를 만들게 했죠. 첫 번째 그룹에게는 창의적 광고 제작법에 대한 사전 오리엔테이션이나 연습 없이 샴푸의 상품 정보만 가지고 광고를 제작하도록 했죠. 그러자 소비자 심사위원단은 "짜증난다"는 반응의 일색이었습니다. 광고의 ABC도 모르고, 연습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만들어진 결과물이니 당연한 일이었죠. 두 번째 그룹에게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방법을 학습토록 한 뒤 광고를 맡겼습니다. 하지만 이 그룹 역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그룹은 창의적인 광고를 만드는 방법을 두 시간 동안 학습한 뒤 연습을 거쳐 광고를 만들었습니다. 실험 전에는 다른 그룹과 마찬가지로 광고의 왕초보들이었지만 결과물에 대한 심사위원단은 대단히 참신하다며 별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두 시간의 연습으로 다른 두 그룹을 완전히 압도하는 창의성을 발휘한 것이죠. 연습의 위력은 이처럼 막강합니다.
그런데 연습을 통해서 성공의 자리로 올라서려면 전제조건이 필요한데요. 바로 오랜 기간 꾸준히 지속해야 한다는 것이죠. 누구나 결심을 하지만 실천하는 사람은 적고, 실천하는 사람은 있어도 지속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1만 시간의 법칙으로 성공한 유명인들에 대한 다큐영상을 보면서, 평범한 사람들과 다른 점을 찾아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tYqu7J7qyXw
마지막으로 1만 시간의 법칙을 간단하게 정리하는 영상 보시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XOgcBmVKSY
올해는 정말 작심삼일이 아니라 연초에 세우신 계획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많은 한 해가 되길 바랍니다.
코로나19로 인하여 몸과 마음이 아프신 분들 많으실겁니다. 그래도 우리에겐 내일이 있으니 우리모두 힘냅시다!!!
(특히, 의료진 여러분들 너무 수고 많으십니다. 정말정말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 읽을만한 책, 같이 읽읍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노력의 배신> - 김영훈 교수 (4) | 2025.05.11 |
---|